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부분잠식상태
- 주당순자산가치
- 가계부실지수
- IB업무
- 시가총액미달
- 주식투자가이드
- 장기영업손실
- 공시의무위반
- 정적vi
- 가치투자
- 주식투자
- 주식용어
- 주식공부
- 주식비교지표
- 자본잠식
- 재테크
- 제3자배정유상증자
- 동적vi
- 주식분산미달
- 상장폐지
- 주식초보
- 감사인_의견_미달
- 매출액미달
- circuit_breaker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 증권업
- 정기보고서_미제출
- 주식
- 가계부실위험지수
- vi발동
- Today
- Total
목록주식투자 기본상식 (8)
빨간펜 주식투자

[프로그램 매매] 프로그램 매매란 주식을 대량으로 거래하는 투자자들이 일정한 전산 프로그램에 따라 최소 15개 종목 이상의 주식을 대량으로 한 번에 거래하는 것을 말합니다. 전산 프로그램의 조건은 투자자가 설정을 하지만 그에 따른 매도나 매수는 시스템이 알아서 합니다.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거래와 비차익거래로 나뉩니다. 한국 코스피, 코스닥 시장 모두 선물이 있어 이론적으로 두 시장 모두 차익거래가 가능하지만 코스피시장이 코스피200 선물/옵션으로 차익거래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비차익거래도 코스피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프로그램 매매의 장단점] 프로그램 매매는 시장에 새로운 정보가 유입되어 효율적인 가격조정을 해주는 장점이 있지만 종합주가지수를 급락 또는 급등시켜 시장에 혼란을 준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

[주식 거래시간] 보통 주식을 모르는 사람도 주식시장이 오전 9시에 개장하여 오후 3시 30분에 폐장하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 시장 개장 전후 폐장 전후로 주식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시간에 흐름에 따라 설명을 하겠습니다. 가장 처음으로 장전 시간 외 종가라고 오전 8시 30분부터 8시 40분까지 10분간 전날 종가로 주식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그와 동시에 장 시작 동시호가라고 하여 똑같이 오전 8시 30분부터 오전 9시까지 동시호가로 30분간 주식주문을 받고 개장하는 9시에 일괄 주문체결을 한다. 오전 9시 개장을 하여 자유롭게 거래가 이루어지다가 오후 3시 20분 장 마감 동시호가가 3시 30분까지 진행됩니다. 장 마감 이후 10분 후 시간 외시 간 외 종가로 오후 4시까지 당일 종가로..

[시세] 시세란 코스피, 코스닥 상장 기업의 주식거래 현황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시세 종류] 거래 시점 기준 시가는 주식 시장이 시작할 때(09:00) 처음으로 거래가 체결된 가격입니다. 시가는 꼭 기준가에서 체결이 되는 것이 아니며, 매도물량과 매도물량에 따라 그보다 높거나 낮은 가격에서 거래가 체결될 수 있습니다. (최대±30%) 현재가는 현재 주식이 거래되고 있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바로 직전 마지막 체결된 거래가격을 보여줍니다. 종가는 장이 마감될 때(15:30) 마지막으로 체결된 거래 가격을 보여줍니다. 종가는 다음날 주식의 기준가가 됩니다. 가격 유동성 기준 고가는 당일 거래중 체결된 가장 높은 거래가격을 보여줍니다. 저가는 당일 거래중 체결된 가장 낮은 거래가격을 보여줍니다. 가격변동 제..

5. 관리종목지정 및 상장폐지 [공시] 정기보고서 미제출 상장기업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법에 의해 1년에 사업보고서 및 분기, 반기 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사업보고서의 경우 각 사업연도 경과 후 90일 이내 금융위원회와 거래소에 제출해야 한다.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개월 및 9개월 간의 분기보고서를 각각 기간 경과 후 45일 이내에 금융위원회와 거래소에 제출해야 합니다. 보통 1년에 1분기 보고서 - 반기보고서 - 3분기 보고서 - 사업보고서 이런 순서로 총 4번 정기 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 정기보고서를 미제출할 경우 짧은 유예기간을 주고 그 이후 상장폐지를 시킵니다. 감사인 의견 미달 감사인 의견에는 적정의견, 한정의견, 부적정의견, 의견거절 총 4가지가 있다. 적정의견의 경우 회사가 제출한 ..

4. 관리종목지정 및 상장폐지 [실적] 매출액 미달 유가증권(코스피) 시장의 경우 50억 원 미만 코스닥 시장의 경우 30억 원 미만일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이 되고 2년 이상 매출액이 기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상장폐지가 된다. 단, 코스닥 시장의 경우 기술성장기업이거나 이익미실현기업은 각각 상장 후 5년간 유예기간을 준다. 때로 재무제표를 살펴볼 때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살펴볼 때 전년 수치와 비교하면서 성장률만 확인하거나 PER, EPS값만 확인하는 경우가 있다. 정확한 기업 분석을 위해서 정확한 액수액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본잠식 자본잠식 [개념] 자본잠식은 순자산이 자본금보다 더 적은 상태를 말한다. 기업활동을 통해 순이익이 생기면 자기자본이 쌓인다. 하지만 반대로 기업활동을 통해 ..

3. 관리종목지정 및 상장폐지 [주식] 주식분산 미달 주로 코스닥에 상장한 기업에서 간혹 발생하는 이슈로 DART(전자공시시스템)이나 네이버 종목분석에서 주주현황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유가증권(코스피) 시장은 일반주주 지분율 5% 미만 즉 대주주 지분이 95% 미만이면 되고, 코스닥 시장은 일반 주주 지분율 20% 즉 대주주 지분이 80% 미만이면 괜찮다. 대주주 한 사람이나 한 단체가 아닌 주주현황에 올라온 대주주 보유 지분 모두를 합친 값이 80% 미만이어야 한다는 점 유의하길 바란다. 최근 2019년도에 이베스트투자증권[070802]이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이 84.88%에 달해 관리종목지정 우려를 받은 바 있다. 하지만 2020년 대주주 지분을 71.6% 까지 줄여 이슈를 해소했다. 이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