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vi발동
- 주식
- 감사인_의견_미달
- 가계부실위험지수
- 동적vi
- 주식초보
- 부분잠식상태
- 상장폐지
- IB업무
- 가계부실지수
- 시가총액미달
- 증권업
- 장기영업손실
- 주식비교지표
- 재테크
- 주식투자
- 주식용어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 주당순자산가치
- 주식투자가이드
- 가치투자
- 자본잠식
- 공시의무위반
- 주식분산미달
- 매출액미달
- 제3자배정유상증자
- 정적vi
- 주식공부
- circuit_breaker
- 정기보고서_미제출
- Today
- Total
목록투자 용어 사전/재무제표 용어 (9)
빨간펜 주식투자

[개념] PSR[Price per Sales Ratio]은 주가를 1주당 매출액으로 나눈 지표다. 과거 PSR은 잘 사용되지 않는 지표 중 하나였습니다. 보통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순이익(현금창출능력)과 자산이지 매출액은 투자자에게 큰 의미가 없습니다. 하지만 업종에 따라 시장 지배력을 측정하는 중요지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PSR이 낮은 이유가 사업의 수익성이 떨어지는 이유가 있을 수도 있지만 사업이 가진 잠재력 때문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약회사 같은 경우 당장의 매출과 수익이 낮지만 신약개발에 성공을 하면 차후 큰 수익을 올립니다. 아마존과 같은 회사처럼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일부러 수익성을 낮춰 더 많은 매출을 올리는 기업 역시 우위를 굳히고 난 후 수익성을 강화..

[개념] 감자란 기업이 갖고 있는 자본금을 줄이는 자본감소를 의미한다. 감자의 형태에 따라 유상감자와 무상감자로 나뉘며 감자의 방법에 따라 주식금액 감소, 주식수 감소로 나뉜다. [감자의 이유] 기업이 감자를 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두 가지 이유로 나눌 수 있다. 회사의 누적결손으로 인해 자본잠식이 일어나 이 잠식분을 반영하기 위해 감자를 하는 형식적 감자의 이유가 있고, 회사의 과잉재산 반환, 영업규모 축소, 기업합병 시 당사회사의 자산상태를 조정 등 다양한 이유로 하는 실질적 감자의 이유가 있다. [감자의 형태] 감자는 유상감자(실질적 감자)와 무상감자(형태적 감자)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유상감자(실질적 감자)는 자본을 감소시킨 만큼 주주들에게 지분 비율에 따라 지급하므로 실질적으로 ..

[개념] 자본잠식은 순자산이 자본금보다 더 적은 상태를 말한다. 기업활동을 통해 순이익이 생기면 자기자본이 쌓인다. 하지만 반대로 기업활동을 통해 적자를 낸다면 기업이 원래 갖고 있던 자기자본이 줄어든다. 이렇게 기업활동을 통해 적자가 생겨 자기자본이 줄어드는 현상을 자본잠식이라고 한다. 회계상 자본 항목은 크게 자본금과 잉여금으로 구성된다. 자본금은 주식의 총 가치다. [발행주식수×액면가]가 기업의 자본금이 된다. 잉여금은 주가가 액면가보다 높을 때 새로 주식을 발행해 발행가와 액면가의 차액만큼 회사가 벌어들인 주식발행 초과금이나 회사가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 가운데 주주에게 배당금을 지급한 뒤 회사 내부에 쌓인 돈을 말한다. 만약 기업의 적자폭이 커져 잉여금이 바닥나고 납입자본금을 상쇄하기 시작하..

[개념] 감가상각이란 기업이 유형자산을 이용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말한다. 기업이 영업활동을 하기 위해 건물이나 설비 등의 유형자산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그 건물이나 설비 등은 오래 사용할수록 낡게 된다. 비록 노후화의 과정이 금액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결국 언젠가는 새로운 유형자산으로 대체하기 위해 지출이 필요한 것이므로 그 비용을 회계적으로 처리한 것이다. [산출방법] 감가상각에는 정액법, 정률법, 연중법, 감가기금법 등 10여 가지 방법이 있다. 최근 한국도 IFRS 회계기준이 도입되어 대부분 기업은 유형자산에 대한 상각을 정액법으로 한다. 정액법 : 정액법은 자산의 가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며, 수선유지비 및 수익은 매기 균등하다는 가정하에 감가상각대상금액을 내용연수 동안 균등하게 배..

[개념] ROE [Return On Equity]는 기업자본의 운영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반영하는 지표로, 자기자본 대비 얼마만큼의 수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 ‘자기자본수익률’ 이라고도 한다. [산출방법]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듀퐁분석 ROE = (순이익÷매출액)×(매출액÷자산)×(자산÷자본) 순이익률 = (순이익÷매출액) 자산 회전율 = (매출액÷자산) 재무 레버러지 = (자산÷자본) 듀퐁분석이란 ROE(자기자본이익률)을 구성 요소별로 나누어 분석하는 재무 분석 기법. [판단법] ROE는 높을수록 좋은 회사라 볼 수 있다. 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

[개념] PBR[Price Book Value Ratio]은 주가를 BPS[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으로 주가와 주당순자산을 비교한 수치이다. 주가가 순자산의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가를 표시하며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나타낸다. ※ PBR을 제대로 이해하시기 위해서 BPS[주당순자산가치] 용어설명을 먼저 읽고 오시길 권고합니다. BPS[주당순자산가치] [개념] BPS(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수치를 말한다. 당장 회사가 상장폐지가 되었다고 가정했을 때 회사의 자산을 팔고 부채를 지 redstockmarker.tistory.com [산출방법] PBR = 주가÷BPS[주당순자산가치] 주가÷주당 장부가 = 시가총액÷장부가치 [판단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