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주식투자가이드
- 공시의무위반
- 주식용어
- 주식비교지표
- 주식투자
- 가계부실지수
- vi발동
- 동적vi
- 장기영업손실
- 시가총액미달
- 상장폐지
- 주식초보
- 정기보고서_미제출
- 가계부실위험지수
- 주당순자산가치
- 증권업
- 매출액미달
- 재테크
- 정적vi
- 제3자배정유상증자
- circuit_breaker
- IB업무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 주식공부
- 주식
- 감사인_의견_미달
- 주식분산미달
- 자본잠식
- 가치투자
- 부분잠식상태
- Today
- Total
빨간펜 주식투자
감가상각 본문
[개념]
감가상각이란 기업이 유형자산을 이용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말한다. 기업이 영업활동을 하기 위해 건물이나 설비 등의 유형자산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그 건물이나 설비 등은 오래 사용할수록 낡게 된다. 비록 노후화의 과정이 금액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결국 언젠가는 새로운 유형자산으로 대체하기 위해 지출이 필요한 것이므로 그 비용을 회계적으로 처리한 것이다.
[산출방법]
감가상각에는 정액법, 정률법, 연중법, 감가기금법 등 10여 가지 방법이 있다. 최근 한국도 IFRS 회계기준이 도입되어 대부분 기업은 유형자산에 대한 상각을 정액법으로 한다.
정액법 : 정액법은 자산의 가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며, 수선유지비 및 수익은 매기 균등하다는 가정하에 감가상각대상금액을 내용연수 동안 균등하게 배분하는 방법이다. 즉 일정한 금액으로 상각 시키는 감가상각법이다.
공식 : d = (c - s)÷ n
d =매년의 감가액, c =원가, s =잔존가액, n =내용연수
매년 감가액은 원가에 잔조가액을 뺀 값을 내용연수(유형 고정 자산의 효용이 지속되는 기간)로 나눠주면 된다.
[확인법]
감가상각비용은 급여, 임차료, 광고비, 연구비와 같이 [판매비와 관리비]에 포함된다. DART(전자공시시스템)에서 원하는 상장기업의 사업보고서, 재무제표 파트 중 포괄손익계산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의점]
감가상각을 사실상 비용이 아니라고 생각하면 자칫 기업의 비용을 과소평가할 위험성이 있다.
추천자료
유상증자
[개념] 유상증자란 상장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상증자 종류] 주주배정 유상증자 : 기존 주주에게 신주인수권을 배정하는 방식으로 만약 기존 주주가
redstockmarker.tistory.com
감자
[개념] 감자란 기업이 갖고 있는 자본금을 줄이는 자본감소를 의미한다. 감자의 형태에 따라 유상감자와 무상감자로 나뉘며 감자의 방법에 따라 주식금액 감소, 주식수 감소로 나뉜다. [감자의 �
redstockmarker.tistory.com
참고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감가상각 [減價償却, depreciation] (경제학사전, 2011. 3. 9., 박은태)
질문이나 수정 요청 사항이 있으면 댓글이나 이메일로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투자 용어 사전 > 재무제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자 (0) | 2020.07.15 |
---|---|
자본잠식 (0) | 2020.06.27 |
ROE[자기자본이익률] (0) | 2020.06.22 |
PBR[주가순자산비율] (0) | 2020.06.21 |
EPS[주당순이익] (0) | 2020.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