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주식공부
- 시가총액미달
- 제3자배정유상증자
- 가치투자
- 주당순자산가치
- IB업무
- 주식초보
- 매출액미달
- 자본잠식
- 주식비교지표
- 주식분산미달
- 감사인_의견_미달
- 주식
- circuit_breaker
- 정기보고서_미제출
- 가계부실지수
- 증권업
- 정적vi
- 주식투자
- 가계부실위험지수
- 동적vi
- 공시의무위반
- vi발동
- 주식투자가이드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 주식용어
- 부분잠식상태
- 재테크
- 장기영업손실
- 상장폐지
- Today
- Total
빨간펜 주식투자
상장폐지 [종합] 본문
1. 관리종목지정 및 상장폐지
기본적으로 주식 투자자가 가장 피해야할 이슈는 투자한 기업이 파산하거나 주식시장에서 퇴출되는 일이다. 어떤 기업이 관리종목지정이나 상장폐지관련 이슈에 언급것 만으로 그 기업의 주가는 바로 하락하고, 상장폐지 종목으로 지정 된다면 투자금을 모두 잃을 수 있는 치명적인 위험에 노출된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기업공시와 사업보고서 특히 재무재표를 살펴봄으로써 미리 위험한 회사를 분류하고 투자를 피할 수 있다.
한국거래소(KRX)사이트에 들어가면 코스닥·코스피 각 증권시장별 관리종목지정 및 상장폐지 기준을 명시해놓고 있다. 그 기준을 크게 실적, 공시, 경영, 주식, 기타 다섯 가지로 구분하고 각 구분별로 살펴봐야 하는 사항과 위험한 회사를 분류하는 방법을 명시하겠습니다.
[자세한 설명]
상장폐지 - ②
2. 관리종목지정 및 상장폐지 [경영] 지배구조 미달 지배구조 미달로 상장폐지당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지배구조 관련 이슈가 생기면 회사 측에서 어떻게든 사외이사를 데려오거나 감사위원회�
redstockmarker.tistory.com
[자세한 설명]
상장폐지 - ③
3. 관리종목지정 및 상장폐지 [주식] 주식분산 미달 주로 코스닥에 상장한 기업에서 간혹 발생하는 이슈로 DART(전자공시시스템)이나 네이버 종목분석에서 주주현황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유가
redstockmarker.tistory.com
[자세한 설명]
상장폐지 - ④
4. 관리종목지정 및 상장폐지 [실적] 매출액 미달 유가증권(코스피) 시장의 경우 50억 원 미만 코스닥 시장의 경우 30억 원 미만일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이 되고 2년 이상 매출액이 기준에 미치��
redstockmarker.tistory.com
[자세한 설명]
상장폐지 - ⑤
5. 관리종목지정 및 상장폐지 [공시] 정기보고서 미제출 상장기업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법에 의해 1년에 사업보고서 및 분기, 반기 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사업보고서의 경우 각 사업연도 �
redstockmarker.tistory.com
위 분류해놓은 표의 원본은 한국거래소(KRX)에서 더욱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질문이나 수정 요청 사항이 있으면 댓글이나 이메일로 문의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