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가치투자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 주식공부
- 주당순자산가치
- 자본잠식
- 공시의무위반
- 주식비교지표
- vi발동
- 장기영업손실
- 시가총액미달
- 주식
- 증권업
- 상장폐지
- 부분잠식상태
- 제3자배정유상증자
- 정적vi
- 주식초보
- 정기보고서_미제출
- 감사인_의견_미달
- circuit_breaker
- 주식분산미달
- 매출액미달
- 가계부실지수
- 주식용어
- 동적vi
- 가계부실위험지수
- 주식투자
- 주식투자가이드
- IB업무
- 재테크
- Today
- Total
빨간펜 주식투자
CB[전환사채] 본문
[개념]
CB [Converible Bond]는 사채로 발행된 채권이지만 일정한 조건과 기간 경과 뒤 소유자가 주식으로 전환을 청구할 수 있는 채권이다.
채권 보유자는 기업주가가 전환 가격을 웃돌게 되거나 기업의 수익성이 향상되어 주식의 배당수익이 채권의 이자수입보다 높아진 경우 주식으로 전환해 배당수익이나 시세차익을 누릴 수 있으며, 주가가 전환 가격보다 낮아지게 되면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해 발행회사가 발행 당시 확정한 만기보장수익률만큼의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다. 회사의 신용도에 따라 차이가 나겠지만 보통 CB [전환사채]의 이자율은 일반적인 채권에 비해 낮은 편이다. 통상적으로 CB 발행 후 3개월부터 주식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CB의 장점]
투자자는 채권의 확실성과 주식의 투기성의 장점을 모두 가질 수 있으며, 채권발행 기업은 전환에 의한 사채 상환의 효과와 이자비용의 감소에 의한 자금조달상의 편의를 가질 수 있다.
[CB 발행방법]
CB [전환사채]는 일반사채처럼 이사회가 발행을 결정하거나 정관의 규정에 의해 주주총회를 통해 발행될 수 있다. 보통 인수권은 기존 주주들에게 먼저 주어진다.
※ 기존 주주들에게는 CB 발행이 증자로 이어저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CB의 종류]
전환사채는 제3자 보증 여부에 따라 보증부전환사채, 담보부전환사채, 무보증전환사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 전환 정도에 따라 회사채 액면금액의 전부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액전환사채와 액면금액의 일정 부분만 전환할 수 있는 부분전환사채가 있다.
또 사모전환사채와 공모전환사채 2가지 종류가 있는데 공모전환사채는 불특정 다수에게 균등한 조건으로 발행하는 한편, 사모전환사채는 기업이 매입자를 개별적으로 접촉해 모집하는 전환사채이다.
추천자료
BW[신주인수권부 사채]
[개념] BW [Bond with Warrant]는 발행기업의 신주인수권(기업의 신주를 매입할 권리)이 부여된 채권이다. 채권자는 기업이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미리 약정된 가격에 따라 일정한 수의 신주를 인수할
redstockmarker.tistory.com
유상증자
[개념] 유상증자란 상장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상증자 종류] 주주배정 유상증자 : 기존 주주에게 신주인수권을 배정하는 방식으로 만약 기존 주주가
redstockmarker.tistory.com
참고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전환사채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네이버 지식백과] 전환사채 - 주식과 채권의 두 얼굴 (금융사전, 김태근, 전정홍)
질문이나 수정 요청 사항이 있으면 댓글이나 이메일로 문의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