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증권업
- 가계부실위험지수
- 가치투자
- 시가총액미달
- 부분잠식상태
- vi발동
- 주식투자
- 제3자배정유상증자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 상장폐지
- circuit_breaker
- 매출액미달
- IB업무
- 주식비교지표
- 정적vi
- 주식공부
- 주식초보
- 자본잠식
- 동적vi
- 재테크
- 장기영업손실
- 주식
- 가계부실지수
- 정기보고서_미제출
- 공시의무위반
- 주식투자가이드
- 주식용어
- 주당순자산가치
- 감사인_의견_미달
- 주식분산미달
- Today
- Total
목록투자 용어 사전 (16)
빨간펜 주식투자

[개념] 유상증자란 상장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상증자 종류] 주주배정 유상증자 : 기존 주주에게 신주인수권을 배정하는 방식으로 만약 기존 주주가 증자대금을 내지 않거나 거부를 하면 실권주가 되어 이사회 결의에 따라 처리된다. 주주우선공모 유상증자 : 기존 주주와 우리사주조합(임직원)에게 우선 신주인수권을 배정한 후 실권주가 발생하면 일반인을 대상으로 공모를 한다. 일반공모 후에도 실권주가 남는 경우 주관 증권사에서 인수한다. 일반공모 유상증자 : 기존 주주에게 신주인수권을 주지 않고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 모집하는 방식으로 공모 결과 실권주가 발생할 경우 주관 증권사에서 인수한다. 제3자배정 유상증자 : 기존 주주의 신주인수권을 배제하고 제3자에게 신주인수권을 배..

[개념] BW [Bond with Warrant]는 발행기업의 신주인수권(기업의 신주를 매입할 권리)이 부여된 채권이다. 채권자는 기업이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미리 약정된 가격에 따라 일정한 수의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이다. 채권자는 보통 채권처럼 일정한 이자를 받으며 채권 만기 시 사채금액을 상환받고, 신주인수권을 보유하고 있다 주가가 신주발행가액보다 높은 경우 기업에 신주 발행을 청구할 수 있다. [BW 의 장점] 투자자는 채권의 이자소득기능으로 안전성과 주식의 자본소득기능으로 투기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채권발행 기업은 일반채권에는 없는 신주인수권을 부여함으로써 채권의 투자수요를 유발시켜 자금조달을 촉진시킬 수 있고, 신주인수권에 대한 대가로 저금리의 채권을 발행할 수 있다...

[개념] CB [Converible Bond]는 사채로 발행된 채권이지만 일정한 조건과 기간 경과 뒤 소유자가 주식으로 전환을 청구할 수 있는 채권이다. 채권 보유자는 기업주가가 전환 가격을 웃돌게 되거나 기업의 수익성이 향상되어 주식의 배당수익이 채권의 이자수입보다 높아진 경우 주식으로 전환해 배당수익이나 시세차익을 누릴 수 있으며, 주가가 전환 가격보다 낮아지게 되면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해 발행회사가 발행 당시 확정한 만기보장수익률만큼의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다. 회사의 신용도에 따라 차이가 나겠지만 보통 CB [전환사채]의 이자율은 일반적인 채권에 비해 낮은 편이다. 통상적으로 CB 발행 후 3개월부터 주식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CB의 장점] 투자자는 채권의 확실성과 주식의 투기성의 장점을 모두 ..

[개념] 자본잠식은 순자산이 자본금보다 더 적은 상태를 말한다. 기업활동을 통해 순이익이 생기면 자기자본이 쌓인다. 하지만 반대로 기업활동을 통해 적자를 낸다면 기업이 원래 갖고 있던 자기자본이 줄어든다. 이렇게 기업활동을 통해 적자가 생겨 자기자본이 줄어드는 현상을 자본잠식이라고 한다. 회계상 자본 항목은 크게 자본금과 잉여금으로 구성된다. 자본금은 주식의 총 가치다. [발행주식수×액면가]가 기업의 자본금이 된다. 잉여금은 주가가 액면가보다 높을 때 새로 주식을 발행해 발행가와 액면가의 차액만큼 회사가 벌어들인 주식발행 초과금이나 회사가 영업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 가운데 주주에게 배당금을 지급한 뒤 회사 내부에 쌓인 돈을 말한다. 만약 기업의 적자폭이 커져 잉여금이 바닥나고 납입자본금을 상쇄하기 시작하..

[개념] 감가상각이란 기업이 유형자산을 이용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말한다. 기업이 영업활동을 하기 위해 건물이나 설비 등의 유형자산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그 건물이나 설비 등은 오래 사용할수록 낡게 된다. 비록 노후화의 과정이 금액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결국 언젠가는 새로운 유형자산으로 대체하기 위해 지출이 필요한 것이므로 그 비용을 회계적으로 처리한 것이다. [산출방법] 감가상각에는 정액법, 정률법, 연중법, 감가기금법 등 10여 가지 방법이 있다. 최근 한국도 IFRS 회계기준이 도입되어 대부분 기업은 유형자산에 대한 상각을 정액법으로 한다. 정액법 : 정액법은 자산의 가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며, 수선유지비 및 수익은 매기 균등하다는 가정하에 감가상각대상금액을 내용연수 동안 균등하게 배..

[개념] ROE [Return On Equity]는 기업자본의 운영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반영하는 지표로, 자기자본 대비 얼마만큼의 수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투자수익률을 높여준다고 볼 수 있어 투자자 측면에선 이익의 척도가 된다. ‘자기자본수익률’ 이라고도 한다. [산출방법]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듀퐁분석 ROE = (순이익÷매출액)×(매출액÷자산)×(자산÷자본) 순이익률 = (순이익÷매출액) 자산 회전율 = (매출액÷자산) 재무 레버러지 = (자산÷자본) 듀퐁분석이란 ROE(자기자본이익률)을 구성 요소별로 나누어 분석하는 재무 분석 기법. [판단법] ROE는 높을수록 좋은 회사라 볼 수 있다. 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